본문 바로가기
건강 100세

노인 불면증 - 노인들은 왜 새벽에 잠이 깰까?

by 스윗라퀸 2020. 10. 22.

 

노인 불면증 -  노인들은 왜 새벽에 잠이 깰까?


 

2020년 10월 6일, 국회 보건복지 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이 국민건강보함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불면증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수가 2019년 기준 63만5천명 정도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다고 한다.

 

그 내용을 다룬 신문기사가 하나 있으니 한번 읽어보도록 하자.

https://bizn.donga.com/health/3/all/20201006/103260123/2

 

‘잠 못 드는 도시’ 1위 부산, 4위 서울…불면증 매년 60만 명

지난해 불면증으로 병원 진료를 본 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부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부터 제출받은 …

bizn.donga.com

 

기사에서 볼수 있듯이, 불면증은 젊은 층보다 노년층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유가 궁금하다.

 

왜 노인이 되면 잠이 줄어들고, 잠을 자고 싶어도 잘 못자게 되는 걸까? 오늘은 그 궁금증을 한번 풀어볼까 한다. 자 그럼, 시작해보자.

 

 

젊은 사람들보다 노년층에 불면증이 많은 이유는?

 

 

젊은 사람들보다 노인들에게 불면증이 많은 것은, 노화로 인해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 분비가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샘이라는 기관에서 생성되는 수면 유도 호르몬으로, 수면 타이밍, 혈압조절, 생리적 기능의 활동일주기의 동기 등에 관여한다.

 

멜라토닌은 보통  잠자기 2시간 전쯤부터 분비량이 늘기 시작해 새벽까지 고농도를 유지하다가, 해가 뜨고 사방이 밝아질 때 분비량이 급속히 줄어든다.

 

노인들의 경우 노화로 인해 뇌의 송과체가 퇴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멜라토닌의 분비가 줄어 들게 되는데, 65세 이상의 고령자인 경우 젊은 층에 비해 멜라토닌이 1/3 정도밖에 분비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면, 갱년기여성이 여성호르몬을 영양제로 보충하듯이, 노인들도 부족한 멜라토닌을 영양제로 보충하면 노인 불면증을 해소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실제로 외국에서는 멜라토닌을 불면증약으로 약국에서 사서 먹기도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의사 처방 없이는 구할 수가 없다. 부작용 우려때문인듯 한데, 꼭 멜라토닌을 복용하고 싶으신분들은 의사와 한번 상의해 보시기를 바란다.

 

 

노인들이 초저녁 잠이 많아지고, 새벽에 잠이 깨는 이유는?

 

사진출처 : Insomnia Icons - Download Free Vector Icons Noun Projectthenounproject.com

 

그렇다면 노인들이 초저녁 잠이 많아지고, 새벽에 일찍 잠이 깨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역시 멜라토닌과 관련이 있다.

 

위에서 멜라토닌이 수면 타이밍과 활동일주기를 동기한다고 했다. 활동일주기란 생명체들의 생화학적, 생리학적, 행동학적 흐름의 주기를 말한다. 즉 생체리듬의 주기를 말하는 것으로, 이 생체리듬과 멜라토닌이 관련이 있는 것이다.

 

멜라토닌은 해가 진후 분비되기 시작해서, 새벽2~4시에 분비량이 최대가 되어, 깊은 잠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노인의 경우 멜라토닌이 초저녁부터 나와서 일찍 잠이 들게 되고, 또 그만큼 빨리 사라져서 새벽에 잠이 깨는 것이다.

 

 

그리고, 노인들이 새벽에 깨서 다시 잠이 들기 쉽지 않은 이유는, 젊은 사람들에 비해 총 수면요구량이 많지 않아서이다.

 

앞선 불면증 포스팅에서 언급했지만, 인체는 잠을 자는 동안 피로를 회복하고, 에너지를 보존하게 되는데, 활동량이 많은 젊은 사람들에 비해, 노인들은 활동량이 적기때문에 피로회복이나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오랜 시간 자거나 쉴 필요가 없는 것이다.

 

즉 총수면량이 줄어드니, 새벽에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 어려워지고, 노인들은 이를 불면증으로 인식하여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총 수면량이 줄어들어 잠을 더 이상 잘 필요가 없는 것이기도 하니, 이를 딱히 불면증이라고 할 것도 아니다 싶다. 본인은 잠을 못잔다고 생각하지만, 어찌보면 잘 만큼 잔 것일수도 있다는 소리가 되니까 말이다.

 

 

글을 마무리하며

 

오늘은 노인들이 초저녁잠이 많아지고, 새벽에 잠이 깨서는 다시 잠들기 어려워지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노인불면증과 수면제에 대한 얘기를 해볼까 한다. 그럼, 이글은 여기까지만. ~

 

 
 

 


2020/10/22 - [건강 100세] - 불면증 - 정의, 원인, 치료법

 

불면증 - 정의, 원인, 치료법

불면증 - 정의, 원인, 치료법 사람은 일생의 30%에 해당하는 시간을 잠을 잔다고 한다. 인생 100년으로 잡으면 30년은 잠을 자면서 보내는 게 되는데, 어찌보면 그 시간이 아깝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lionqueenroom.tistory.com

2020/10/23 - [건강 100세] - 노인 불면증 - 수면제 복용 괜찮을까?

 

노인 불면증 - 수면제 복용 괜찮을까?

노인 불면증 - 수면제 복용 괜찮을까? 불면증으로 잠 못드는 밤이 길어지면, 누구나 한번쯤은 수면제 복용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하지만, 수면제는 그것의 의존성과 중독의 우려때문에 젊은 사

lionqueenroom.tistory.com

2020/12/17 - [건강 100세] - 수면제, 수면유도제 종류와 차이

 

수면제, 수면유도제 종류와 차이

수면제, 수면유도제 종류와 차이 지난 번 포스팅에서 불면증의 정의, 원인, 치료법에 대한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다. 2020/10/22 - [건강 100세] - 불면증 - 정의, 원인, 치료법 불면증 - 정의, 원인, 치

lionqueenroom.tistory.com

 

댓글